☐ 인도네시아 중앙은행, 디지털 루피아와 국채(SBN) 기반 국가 스테이블코인 발행 계획 발표
⦁ 페리 와르지요 인도네시아 중앙은행 총재, 자카르타 인도네시아 디지털 금융경제 페스티벌 및 핀테크 서밋 2025에서 디지털 중앙은행 증권 발행 계획 공개
⦁ 미국 국채 기반 스테이블코인 구조 벤치마킹에 따른 인도네시아 국가 버전 스테이블코인 개발로 루피아 글로벌 위상 강화 추진
- 2022년부터 개발 중인 디지털 루피아의 2024년 말 1차 테스트 단계 완료 및 도매 루피아 디지털 현금 원장 개념 검증 성공
- 디지털 루피아와 기존 결제 시스템 및 금융시장 인프라 통합을 통한 국내외 거래 효율성 제고 방침
☐ 인도네시아 중앙은행의 3대 전략 기반 블록체인 통화 시스템 통합 추진
⦁ 혁신 촉진, 금융 포용성 확대, 시스템 안정성 유지를 핵심으로 한 디지털 금융 인프라 현대화 전략 수립
⦁ 중앙은행 디지털화폐(CBDC) 개발과 스테이블코인 모델의 공식 연계로 새로운 금융 상품 기반 구축
- 블록체인 기술 기반 통화 시스템 통합에서 비롯된 국가 금융 생태계 혁신 가속화
- 디지털 증권 발행을 통한 국내 금융시장 인프라 고도화 및 국경 간 거래 활성화 기대
☐ 인도네시아 금융감독청(OJK), 스테이블코인 거래 모니터링 및 자금세탁방지 규제 강화
⦁ 2025년 4월 루피아 환율 사상 최저치인 달러당 1만 6,850 루피아(약 1,400원) 기록의 결과로 헤징 수단으로서 스테이블코인 수요 급증
⦁ 디노 밀라노 시레가르 OJK 디지털 자산 부문장, 거래소 모니터링 시스템 내 스테이블코인 포함 및 거래자별 감독 체계 확립 발표
- 스테이블코인 거래자 대상 자금세탁방지 의무 준수 및 정기 보고 요건 규정 마련
- 법정 결제 수단 미인정에도 송금, 헤징, 신속 거래 수단으로 스테이블코인 활용 증가 추세
☐ 인도네시아, 글로벌 암호화폐 채택 7위 국가로 디지털 금융 혁신 가속화
⦁ 체이널리시스 2025년 글로벌 암호화폐 채택 지수에서 7위 기록 및 탈중앙화 금융(DeFi) 사용 4위 달성
⦁ 중국, 홍콩과 함께 자국 스테이블코인 개발로 스테이블코인 시장 내 미국 달러 지배력 견제 전략 추진
- 비트코인 준비자산 편입 논의 진행으로 디지털 금융 생태계 다각화 모색
- 국채 기반 디지털 스테이블코인 발행을 통한 루피아 안정화 및 글로벌 디지털 금융 시장 참여자 유치 기대
| 출처 | Coinlaw | 
|---|---|
| 원문링크1 | |
| 원문링크2> | |
| 키워드 | 
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