바로가기 및 건너띄기 링크
본문 바로가기
주메뉴 바로가기

자료실

금융규제

국기말레이시아 디지털 자산 혁신 허브 설립 지침 (Digital Asset Innovation Hub Initiative)
주요사업 테이블 설명 - 국가, 법령명, 종류, 주관기관, 제정일, 개정일, 상세내용, URL로 구분
국가 말레이시아
제목 말레이시아 디지털 자산 혁신 허브 설립 지침 (Digital Asset Innovation Hub Initiative)
종류 행정규칙
기관 중앙은행 Bank Negara Malaysia (BNM), 말레이시아 총리실 및 재무부
제정일 2025년 6월 17일 개정일 -
개정 내용

⦁ 개인정보보호법에 보안 위반 개념 도입

⦁ 신원증명 문서의 종이 사본 수집·처리 전면 금지

⦁ 디지털개발부에 1영업일 내 보안 사고 통보 의무 부여 

⦁ 디지털개발부의 미예고 현장검사 권한 명문화

상세 내용

□ 프로그램 목적 및 범위

⦁ 디지털 자산 혁신 허브는 금융 혁신을 지원하고 규제 불확실성을 감소시키기 위한 통제 실험 환경임 

⦁ 핀테크 및 디지털 자산 기업이 링깃 기반 스테이블코인, 프로그래머블 머니, 공급망 금융 등을 테스트 가능함

⦁ 말레이시아를 동남아 핀테크 허브로 육성하려는 전략 방향과 일치함


□ 감독 주체 및 운영 구조

⦁ BNM이 허브 운영을 총괄 감독하며, 중앙은행 관점의 금융 안정성 및 보안 기준 적용됨 

⦁ 총리 및 재무부가 정책 조율 정책적 배경을 제공함

⦁ 허브 참여 기관은 규제 벽이 완화된 환경에서 실증 실험기회를 제공받음


□ 테스트 대상 및 기술 요소

⦁ 링깃 담보형 스테이블코인 발행 및 결제 활용 사례 실험 가능함 

⦁ 스마트 계약 기반 프로그래머블 머니를 통한 자동화 결제 시스템 구축 테스트 허용됨

⦁ 공급망 금융에 대한 분산원장 기술 응용 가능성 탐색 포함됨


□ 인프라 및 정책 정합성

⦁ RENTAS 결제 시스템 현대화, 국경 간 결제 연계성 확대 추진과 연계됨 

⦁ 자산 토큰화(capital markets tokenization) 논의와 연계, 전통 금융 시장과의 통합성 중시됨

⦁ 금융 인프라·정책·인재 육성 전략 간의 정합성 확보에 중점 둠


□ 투자자 보호 및 규제 완화

⦁ 제한된 기간·규모 내 테스트 허용으로 잠재 리스크 최소화함

⦁ BNM이 보안, AML/CFT, 소비자 보호 기준 검토 과제 포함함 

⦁ 규제 완화는 혁신 촉진 목적이나 테스트 결과에 따라 차후 규제 정비 가능


□ 기대 효과 및 전략적 의의

⦁ 말레이시아 디지털 경제 전환의 시작점으로 기록됨

⦁ ASEAN 의장국 역할 수행 시 리더십 입지 강화에 기여함

⦁ 규제 샌드박스 성공 사례로 글로벌 표준화 선도 가능성 있음

URL
첨부파일