☐ ECB, 2026년 하반기부터 은행 대출 담보자산 평가에 기후요소 도입 결정
⦁ ECB(유럽중앙은행) 정책위원회가 담보자산의 기후변화 불확실성을 반영한 '기후요소(climate factor)' 도입 확정
⦁ 금융시스템 내 과잉유동성 감소에 따른 은행 대출 증가에 대비해 기후리스크 완충장치 구축
- 단기·장기 은행 대출의 담보자산 가치 산정에 기후요소 반영 예정
- 기후변화 불확실성이 담보자산에 미치는 영향도에 따른 가치 조정 체계 마련
☐ 비금융기업 발행 시장성 자산의 녹색전환 리스크 평가 강화
⦁ 비금융기업 발행 시장성 자산을 우선 대상으로 녹색전환 과정의 부정적 영향 분석 착수
⦁ 기후리스크 공시 의무화에도 은행권의 미흡한 대응으로 제재 가능성 대두
- 기후리스크 공시 불이행 은행에 대한 제재 방침 수립
- 기후리스크 정보공개 확대를 통한 관리체계 강화 추진
☐ 미 연준과 차별화된 기후리스크 관리정책 추진
⦁ 미 연준의 기후리스크 관리 이니셔티브 탈퇴와 대조적으로 기후리스크 관리 강화 기조 유지
⦁ 유로존의 탄소발자국 감축을 위한 친환경 자금조달 유도정책 확대 방침
- 기후변화 금융리스크에 대한 선제적 대응체계 구축
- 은행권의 녹색금융 확대를 위한 제도적 기반 조성
출처 | ECB |
---|---|
원문링크1 | |
원문링크2> | |
키워드 |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