바로가기 및 건너띄기 링크
본문 바로가기
주메뉴 바로가기

자료실

금융이슈

미국 GENIUS법과 EU MiCA 규제, 암호화폐 시장 규제 수렴 가속화...글로벌 스테이블코인 감독체계 통합 전망
  • 2025-09-18

    ☐ 미국 GENIUS법과 EU MiCA의 스테이블코인 규제 프레임워크 간 높은 조화성 확인

    ⦁ 2025년 7월 제정된 미국 GENIUS법이 EU의 MiCA와 전자화폐 취급 및 준비금 보유 규제에서 유사한 접근방식 도입

    ⦁ 양측 모두 스테이블코인 발행사에 대한 1:1 준비금 의무화와 파산격리 구조 요구로 투자자 보호 강화 체계 구축

    - 스테이블코인 보유자의 액면가 상환권 보장으로 시장 안정성 제고 방안 마련

    - 거래소의 비준수 토큰 상장폐지 의무화 등 유통망 전반의 규제 체계 확립


    ☐ GENIUS법의 보수적 규제 접근으로 은행 리스크 차단 강화 추세

    ⦁ 준비금의 장기채권 보유 금지와 은행 핵심업무 분리 등 MiCA 대비 엄격한 리스크 관리 체계 도입

    ⦁ 발행규모 100억 달러(약 13조 8,150억 원) 초과 시 연방 감독기관 직접 관리로 전환하는 감독 체계 확립

    - 미 재무부의 규제 패스포팅 권한 강화로 국제 규제 조화 가속화

    - EU·미국 간 규제 조화로 상호 시장 진입 시 법인 설립 부담 경감 예상


    ☐ 양측 규제, 빅테크의 독자 화폐 발행 제한으로 국가 화폐 주권 보호 강화

    ⦁ 리브라 프로젝트 등 빅테크의 화폐 발행 시도에 대한 공동 대응 체계 마련

    ⦁ 재무장관 주도 특별위원회 설치로 빅테크의 스테이블코인 발행 통제 강화

    - EU·미국의 경쟁법을 통한 빅테크의 금융·결제 시장 진입 제한 정책 수립

    - 폐쇄형 네트워크 기반 스테이블코인의 시장성 제약으로 화폐 주권 보호 체계 확립

주요사업 테이블 설명 - 출처, 원문링크1, 원문링크2, 키워드로 구분
출처 World Economic Forum
원문링크1
원문링크2
키워드
  • GENIUS법

  • MiCA

  • 스테이블코인규제

  • 금융감독

  • 국제규제조화