☐ 테더, 미국 국채 보유액 1,350억 달러(약 193조 원)로 한국 제치고 세계 17위 국가채권 보유국 등극
⦁ 2025년 1분기 650억 달러(약 93조 원) 규모 국채 매입 결과 직접 보유액 985억 달러(약 141조 원) 달성
⦁ 2025년 2분기 기준 직접 보유 1,055억 달러(약 151조 원), 간접 노출 213억 달러(약 30조 원)로 총 1,270억 달러(약 182조 원) 이상 보유
- 독일·사우디아라비아 등 주요 경제국 보유액 수준 도달로 브라질 바로 아래 순위 기록
- 중국의 미국 국채 보유액이 1조 달러(약 1,421조 5,000억 원)에서 7,560억 달러(약 1,075조 6,700억 원)로 감소하는 동안 스테이블코인 발행사의 국채 매입 확대
☐ 미국 GENIUS법 시행에 따른 스테이블코인 발행사들의 국채 매입 급증으로 2028년 시장규모 2조 달러 전망
⦁ 2025년 7월 시행된 GENIUS법의 스테이블코인 준비금 국채 등 저위험 자산 보유 의무화 규정으로 발행사들의 국채 매입 가속화
⦁ 은행과 포춘 500대 기업의 스테이블코인 채택 확대에 따라 시장규모 2025년 2,700억 달러(약 383조 8,050억 원)에서 2028년 2조 달러(약 2경 8,430조 원) 성장 전망
- 서클(Circle) 등 주요 스테이블코인 발행사의 국채 보유액 450억~550억 달러(약 64조~78조 원) 규모 기록
- 스테이블코인 거래량이 비자(Visa) 수준 도달로 전체 금융기관의 절반 가량이 결제·거래에 활용
☐ 테더골드(XAU₮) 시가총액 20억 달러 돌파로 토큰화된 실물자산 시장 주도권 강화
⦁ 2025년 10월 말 기준 스위스 보관 금 37만 5,572.297 트로이온스 담보로 시가총액 21억 달러(약 2조 9,851억 원) 달성
⦁ 금 가격 트로이온스당 3,858.96달러(약 548만 6,453원) 사상 최고치 경신과 인플레이션·지정학적 리스크 대응 수요 증가로 2025년 3분기 14억 4,000만 달러(약 2조 469억 원)에서 급증
- 1 XAU₮ 토큰당 1 트로이온스 금 1대1 페깅 구조로 블록체인 기반 투명한 준비금 검증 체계 구축
- 2025년 2분기 기준 7.66톤 이상 금 보유로 기관투자자 대상 안전자산 수요 충족
☐ 스테이블코인 발행사의 국채 보유 확대로 달러 지배력 강화 및 금리 영향력 증대 전망
⦁ 테더와 서클 등 스테이블코인 발행사들의 국채 보유액이 다수 국가 수준 초과로 글로벌 유동성 시장 영향력 확대
⦁ 스테이블코인 국채 수요 증가가 달러 글로벌 지배력 강화 및 금리 하락 압력 요인으로 작용 가능성 제기
- 전통 금융과 블록체인 연결 역할 수행으로 디지털 자산 소유권 및 규제 준수 모델 제시
- 은행권과의 유동성 경쟁 및 시장 안정성 리스크 우려로 금융업계의 규제 강화 요구 증가
| 출처 | BeInCrypto |
|---|---|
| 원문링크1 | |
| 원문링크2> | |
| 키워드 |
|